본문 바로가기
주가지도분석

매도 징후 포착 패턴: 25. 트위스트존

by 지혜로운 투자정보 2025. 9. 4.
반응형

'트위스트존'은 명백한 하락 추세 속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기술적 반등(상승)이, 중요한 저항선(고점 마지노선)을 넘지 못하고 다시 꺾이며 기존의 하락 추세로 복귀하는 매우 신뢰도 높은 추세 지속형 매도 패턴입니다.

25. 트위스트존 패턴 설명을 위한 도식화
25. 트위스트존 패턴 설명을 위한 도식화

이 패턴의 이름은, 상승으로 방향을 트는 것처럼 보이던(Twist) 주가가 결국 기존의 하락 추세를 이기지 못하고 다시 아래로 꺾이는, 속임수 반등의 핵심 구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하락장 속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불 트랩(Bull Trap)의 형태입니다.
 

1. 트위스트존의 형성 과정과 구조

이 패턴은 하락이라는 거대한 중력이 지배하는 공간에서, 잠시 솟아오른 공이 힘을 잃고 다시 떨어지는 과정과 같으며, 다음과 같은 3단계로 구성됩니다.

1단계: 하락 추세의 배경


○ 조건: 중기 추세선인 20일 이동평균선이, 장기 추세선인 6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위치하는 '역배열' 구간이어야 합니다.

의미: 이는 시장의 큰 힘과 에너지가 이미 '하락'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구간에서 나타나는 모든 상승은 추세 전환이 아닌, 일시적인 반등일 확률이 매우 높다는 전제를 가지고 시장을 바라봐야 합니다.


2단계: 기술적 반등과 저항선 근접

○ 조건: 하락하던 주가가 단기적인 반등을 시작하며, 5일 이동평균선이 상승합니다. 이 반등을 통해 주가는 이전에 형성되었던 중요한 고점(고점 마지노선) 부근까지 접근합니다.

심리: 이 반등을 보고 일부 투자자들은 "이제 하락이 끝나고 다시 상승하는구나"라는 희망을 품고 성급하게 매수에 가담합니다. 하지만 현명한 투자자와 시장의 주도 세력은, 이 구간을 '저가 매수'의 기회가 아닌, 기존의 하락 추세 속에서 물량을 정리할 수 있는 고가 매도의 기회로 인식합니다.

3단계: 저항 확인과 재하락


○ 조건: 고점 마지노선이라는 강력한 저항에 부딪힌 주가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그 힘이 소진되며 강력한 '음봉이 출현하는 순간입니다.

○ 의미: 이 음봉은 일시적인 반등이 끝났음을 확인시켜 주는 확인 사살의 신호입니다. 이는 매수세의 힘이 매도세의 저항을 이기지 못했음을 의미하며, 이제 주가는 기존의 거대한 하락 추세라는 중력에 이끌려 다시 아래로 향할 것임을 강력하게 암시합니다.


2. 결론: 실전 투자 전략 적용


트위스트존은 하락 추세 속에서 가장 안전하고 확률 높은 매도/공매도 타이밍을 제공합니다.

1) 종목 선정: 20일선과 60일선이 역배열 상태에 있는, 명백한 하락 추세의 종목을 먼저 찾아냅니다.

2) 기다림의 원칙: 해당 종목이 하락을 멈추고 기술적 반등을 시작하더라도 섣불리 행동하지 않습니다. 주가가 이전의 의미 있는 고점, 즉 고점 마지노선까지 충분히 반등하기를 기다립니다.

3) 매도 실행: 주가가 고점 마지노선에 근접한 상태에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을 암시하는 음봉 캔들이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고 매도에 진입합니다. 이는 반등의 힘이 모두 소진된 것을 확인하고 행동하는 것이므로 매우 신뢰도가 높습니다.

4) 리스크 관리: 만약 이 패턴을 이용해 공매도 전략을 구사한다면, 손절매 기준선은 고점 마지노선을 소폭 상회하는 지점으로 설정합니다. 만약 주가가 이 저항선을 뚫고 올라선다면, 이는 하락 추세가 끝났을 가능성을 의미하므로 즉시 포지션을 정리해야 합니다.

하락장에서는 상승하는 종목을 쫓는 것보다, 하락 추세 속의 짧은 반등을 이용하여 매도하는 것이 훨씬 더 현명하고 안전한 전략입니다. 트위스트존 패턴은 바로 그 최적의 타이밍을 알려주는 매우 유용한 나침반입니다.

※ 참고자료: 유투브 김종철의 '원 포인트 레슨', 한국경제TV의 국고처 김종철편의 강의 내용들, 도서「김종철의 최적투자 33 혁명」, 언론 보도 및 웹 검색 등을 종합한 저의 개인적인 정리 내용임을 밝혀 둠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