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가지도분석

매도 징후 포착 패턴: 28. 역배열 더블탑

by 지혜로운 투자정보 2025. 9. 9.
반응형

'역배열 더블탑'은 주가가 장기 이동평균선(240일선)을 기준으로 역배열 상태에 놓여있을 때, 단기 이동평균선(5일선)이 '더블탑(쌍봉)' 형태를 만들며 하락 추세를 지속하는 매우 강력한 추세 지속형 매도 패턴입니다. 이 패턴의 핵심은, 하락 추세라는 거대한 중력 아래에서 발생하는 모든 반등은 결국 실패하고 다시 아래로 꺾일 수밖에 없음을 이중으로 확인시켜 주는 것입니다.

이 패턴은 240일선이라는 절대적인 기준선에 대한 주가의 위치에 따라 그 위험도와 하락의 파괴력이 크게 달라집니다.

 

28. 역배열 더블탑 패턴 설명을 위한 도식화
28. 역배열 더블탑 패턴 설명을 위한 도식화 ※자료: KJC 김종철 프로증권 브로마이드

 

 

1. 240일선 위에서의 5일선의 역배열 더블탑

1) 형태:

240일 이동평균선이 하락 후 횡보하는 상태에서, 주가는 240일선 위에서 움직입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 단기 추세선인 5일 이동평균선이 두 개의 봉우리(1번, 2번)를 형성하는 더블탑(쌍봉)을 만들고, 2번 봉우리에서 장대음봉이 출현하며 하락하는 형태입니다.

 

2) 심층 분석 및 심리:

○ 배경 : 240일선이 하락으로 전환된 후, 5일선도 더블탑을 만들며 단기 상승 에너지가 고갈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매수세의 한계: 5일선이 더블탑을 만들었다는 것은, 단기적인 매수 세력이 주가를 더 이상 끌어올릴 힘이 없음을 스스로 인정한 것입니다. 특히 두 번째 봉우리(2번)가 첫 번째 봉우리(1번) 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되면, 상승의 동력이 현저히 약해졌음을 더욱 명확히 합니다.

 

하락으로의 전환 예고: 이 패턴은 240일선이라는 큰 지지선 위에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하락 추세로의 전환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강력한 경고 신호입니다. 이후 주가는 240일선을 상승으로 돌리지 못하고 240일선을 이탈하며 대세 하락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3) 투자 전략:

이 패턴은 단기적인 관점에서의 이익 실현 또는 비중 축소 신호입니다. 특히 2번 봉우리에서 장대음봉이 출현하는 순간은, 주가가 240일선으로 향하는 하락 파동의 시작이 될 수 있으므로 즉시 매도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240일선 아래에서의 5일선의 역배열 더블탑 

1) 형태:

240일 이동평균선이 이미 하락 추세에 있으며, 주가가 240일선 아래에서 움직입니다. 이 상황에서 단기 추세선인 5일 이동평균선이 240일선이라는 강력한 저항선 아래에서 두 개의 봉우리(1번, 2번)를 형성하는 더블탑(쌍봉)을 만들고, 2번 봉우리에서 장대음봉이 출현하며 추가 하락하는 형태입니다.

 

2) 심층 분석 및 심리:

배경: 240일선이 하락하고 주가가 그 아래에 있다는 것 자체가 이미 대세 하락에 진입했음을 의미합니다. 240일선은 이제 강력한 저항선 역할을 합니다.

 

반등의 한계: 이러한 대세 하락장 속에서 5일선이 만드는 더블탑은, 추세 전환이 아닌 '하락 추세 속의 기술적 반등이 실패했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줍니다. 즉, 주가가 240일선이라는 거대한 저항을 넘지 못하고 힘을 잃었음을 의미합니다.

 

더 큰 하락의 확률: 이 패턴은 하락 추세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잠시 나타났던 반등의 마지막 불꽃마저 꺼졌음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오른쪽 이미지의 패턴은 왼쪽 이미지의 패턴보다 훨씬 더 강력한 하락 신호이며, 이후의 하락 속도와 깊이가 훨씬 더 파괴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3) 투자 전략:

이 패턴은 대세 하락장 속에서의 최종 탈출 또는 공매도 신호로 활용됩니다. 특히 2번 봉우리에서 장대음봉이 출현하는 순간은, 추가적인 폭락이 시작될 수 있으므로 미련 없이 전량 매도해야 합니다. 이미 보유하고 있다면 손실을 감수하고라도 빠져나와야 할 시점입니다.


3. 결론: 실전 투자 전략 적용 - '위치'가 '위험'을 결정한다

역배열 더블탑 패턴은 주식의 위치가 동일한 패턴의 위험도를 얼마나 크게 변화시키는지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어떤 형태든 역배열 더블탑은 하락 추세의 강력한 경고이므로, 이 패턴을 인지했다면 그 즉시 리스크 관리에 들어가야 합니다. 240일선이라는 거대한 지도를 통해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단기적인 더블탑이라는 나침반으로 다음 방향을 예측하여 현명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참고자료: 유투브 김종철의 '원 포인트 레슨', 한국경제TV의 국고처 김종철편의 강의 내용들, 도서「김종철의 최적투자 33 혁명」, 언론 보도 및 웹 검색 등을 종합한 저의 개인적인 정리 내용임을 밝혀 둠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