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도 징후 포착 패턴: 29. 투터치 패턴

by 지혜로운 투자정보 2025. 10. 6.
반응형

'투터치 패턴'은 주식 시장의 단기적인 상승 에너지가 고갈되고, 매도세가 힘을 얻기 시작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이익을 실현하거나 위험을 회피하는 매우 섬세하고 강력한 단기 고점 매도 패턴입니다. 이 패턴의 핵심은, 주가가 특정 저항선이나 추세의 고점에서 두 번의 터치(접촉)를 시도하지만 결국 돌파에 실패하고 밀려나는 것을 확인하고 매도하는 것입니다.

이 패턴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당일 주가의 장중 흐름(분봉)에서 나타나는 '역 N자 하락 파동'을 통해 매도 신호의 신뢰도를 높입니다.

 

29. 투터치 패턴 설명을 위한 도식화
29. 투터치 패턴 설명을 위한 도식화

 

 

1. 5일선 5파동 구간에서의 투터치

1) 정의:

5일 이동평균선엘리엇 파동이론의 '5파동'과 유사하게 상승의 끝자락에 도달한 상황에서, 주가가 고점에서 두 번의 터치를 시도하다가 실패하고, 당일 장중 흐름(점선)이 '역 N자형'으로 꺾이며 하락하는 패턴입니다.

 

2) 심층 분석 및 심리:

○ 5파동의 의미: 엘리엇 파동이론에서 5파동은 상승 추세의 마지막을 의미합니다. 즉, 5일선 5파동 구간은 단기적인 상승 에너지가 극도로 소진되고, 매수세가 마지막 불꽃을 태우는 시점으로, 언제든 꺾일 수 있는 매우 위험한 구간임을 암시합니다.

 

고점 투터치: 주가가 고점에서 두 번 터치하며 돌파를 시도하지만 실패한다는 것은, 해당 가격대에서 강력한 매도 저항에 부딪혔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승을 이어나갈 힘이 부족하다는 명확한 신호입니다.

 

장중 '역 N자' 하락: 가장 중요한 것은 당일 장중 흐름(점선)이 '역 N자형'으로 꺾이는 것입니다.

 - 첫 번째 하락: 고점 터치 실패 후 첫 하락.

 - 기술적 반등: 잠시 반등하지만, 이전 고점을 넘지 못하는 '낮은 고점'을 형성. (매수세의 약화)

 - 저점 붕괴: 다시 하락하며 이전 저점을 깨고 내려감. (단기 하락 추세의 확정) 이 '역 N자' 하락 파동은 일봉의 큰 그림에서는 아직 명확한 음봉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지만, 분봉에서는 이미 단기적인 추세가 하락으로 완전히 전환되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3) 투자 전략:

5일선이 5파동 구간에 진입했다면 경계 태세를 갖춰야 합니다. 이후, 주가가 고점에서 투터치에 실패하고 당일 장중 흐름(분봉)이 '역 N자형'으로 꺾이며 하락하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이를 가장 빠른 매도 급소로 삼고 보유 물량을 정리해야 합니다.


2. 20일선 쌍봉 구간에서의 투터치

1) 정의:

20일 이동평균선쌍봉을 형성하며 중기적인 하락 반전을 암시하는 구간에서, 5일 이동평균선이 3~4파동 정도의 짧은 상승을 보인 후 고점에서 투터치에 실패하고, 당일 장중 흐름(점선)이 '역 N자형'으로 꺾이며 하락하는 패턴입니다.

 

2) 심층 분석 및 심리:

○ 20일선 쌍봉의 위험: 20일선 쌍봉은 이미 중기적인 상승 에너지가 고갈되었으며, 하락 반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강력한 경고입니다. 이는 시장의 배경이 이미 '위험'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짧은 5일선 파동: 이런 위험한 배경 속에서 나타나는 5일선의 3~4파동의 상승은, 진정한 상승 추세라기보다는 하락을 위한 기술적 반등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고점 투터치 + 장중 '역 N자': 5일선이 고점에서 투터치에 실패하고, 당일 장중 흐름이 '역 N자형'으로 꺾인다는 것은, 중기적인 관점(20일선 쌍봉)과 단기적인 관점(5일선 파동 및 장중 흐름) 모두에서 상승의 힘이 완전히 소멸되고 매도세가 주도권을 잡았음을 이중으로 확인시켜주는 것입니다.

 

3) 투자 전략:

20일선 쌍봉이 형성되었다면, 이제는 매도 시점을 찾아야 합니다. 이때, 5일선이 짧은 상승 파동 후 고점에서 투터치에 실패하고 당일 장중 흐름(분봉)이 '역 N자형'으로 꺾이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이는 매우 강력한 최종 매도 신호로 판단하고 즉시 보유 물량을 정리해야 합니다.


3. 결론: 실전 투자 전략 적용 - 미시와 거시를 결합한 매도

'투터치 패턴'은 일봉이라는 '거시적인 그림'에서 위험 신호를 감지하고, 분봉이라는 '미시적인 그림'에서 매도의 확정 신호를 찾아내는 정교한 기법입니다.

 

첫 번째 형태는 단기 상승 추세의 마지막을 포착하는 데 유용합니다.

두 번째 형태는 중기 하락 반전 추세 속의 마지막 기술적 반등을 이용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핵심은, 주가가 특정 고점에서 '두 번의 터치'에 실패하고 밀려나는 것을 확인하고, 특히 장중 분봉이 '역 N자형'으로 꺾이며 하락 추세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는 남들보다 한발 앞서 고점에서 이익을 실현하고, 하락의 위험에서 벗어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매도 패턴입니다.

 

※ 참고자료 : 

- 유투브 김종철의 '원 포인트 레슨', 한국경제TV의 국고처 김종철편의 강의 내용들, 도서「김종철의 최적투자 33 혁명」, 언론 보도 및 웹 검색 등을 종합한 저의 개인적인 정리 내용임을 밝혀 둠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