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별형은 상승 추세의 마지막을 알리는 저녁 별(Evening Star)처럼, 찬란했던 상승의 시대가 저물고 하락이라는 어두운 밤이 찾아왔음을 예고하는 매우 신뢰도 높은 고점 반전형 캔들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3개의 캔들이 모여 '상승(낮) → 정체(저녁) → 하락(밤)'으로 전환되는 시장의 심리를 극적으로 보여주는 한 편의 드라마와 같습니다.

1. 석별형의 기본형
가장 강력하고 교과서적인 형태의 석별형은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캔들과 두 개의 갭(Gap)으로 구성됩니다.
1) 첫 번째 캔들 (장대 양봉): 낙관의 절정
○ 형태: 기존의 상승 추세를 이어가는 강력한 장대 양봉입니다.
○ 심리: 시장은 낙관론에 가득 차 있으며, 모든 투자자들이 추가 상승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상승의 마지막 불꽃을 태우는 단계입니다.
2) 두 번째 캔들 (작은 캔들, 샛별): 불확실성의 시작
○ 형태: 첫 번째 장대 양봉의 종가보다 갭 상승하여 나타나는 몸통이 작은 캔들입니다. 이 캔들은 양봉일 수도, 음봉일 수도 있습니다. 몸통이 거의 없는 십자형일 때 가장 강력한 신호로 봅니다.
○ 심리: 갭 상승은 아침까지만 해도 매수세의 힘이 여전히 강력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하루 종일 주가가 거의 오르거나 내리지 못하고 작은 몸통으로 마감했다는 것은, 치열한 힘겨루기 끝에 매수세의 힘이 소진되고 매도세의 저항이 거세졌음을 의미합니다. 찬란했던 상승의 기세가 멈추고, 시장은 방향성을 잃은 채 정체와 불확실성의 상태에 빠집니다.
3) 세 번째 캔들 (장대 음봉): 공포의 시작
○ 형태: 두 번째 캔들의 종가보다 갭 하락하여 시작하는 장대 음봉입니다. 이 음봉은 첫 번째 장대 양봉의 몸통 깊숙이(최소 50% 이상) 파고들며 마감해야 합니다.
○ 심리: 갭 하락은 밤사이 시장의 심리가 완전히 비관적으로 돌아섰음을 보여줍니다. 이 장대 음봉은 매도 세력이 시장을 완전히 장악했음을 선포하는 확인 사살의 일격입니다. 지난 이틀간 상승을 기대하고 매수했던 모든 투자자들은 공포에 휩싸여 투매에 동참하게 되고, 이는 하락 추세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됩니다.
2. 석별형의 변형형
실전에서는 교과서적인 기본형만큼이나 다양한 변형된 형태의 석별형이 나타납니다. 핵심적인 의미는 같지만, 신호의 강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정의: 기본형의 핵심적인 구조(장대양봉 → 작은 캔들 → 장대음봉)는 유지되지만, 갭이 없거나 불분명한 형태를 말합니다.
2) 오른쪽 이미지 분석: 오른쪽 차트의 변형형은 두 번째 캔들이 갭 상승 없이 첫 번째 캔들의 종가 부근에서 형성되고, 세 번째 음봉 역시 갭 하락 없이 시작됩니다.
3) 의미와 신뢰도: 갭이 없다는 것은 기본형에 비해 추세 반전의 강도나 긴급성이 다소 약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핵심은 세 번째 장대 음봉이 첫 번째 장대 양봉의 몸통을 얼마나 깊숙이 침투하느냐에 있습니다. 갭이 없더라도 세 번째 장대 음봉이 첫 번째 양봉의 시가마저 위협할 정도로 강력하다면, 이는 기본형에 준하는 매우 강력한 하락 반전 신호로 해석해야 합니다.
3. 결론: 실전 투자 전략 적용
석별형 패턴은 상승 추세의 종말을 알리는 명백한 매도 신호입니다. 석별형의 출현은 즐거웠던 상승 파티가 끝나고, 이제 집으로 돌아가야 할 시간임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이 신호를 무시하고 파티에 계속 머무르려 한다면, 비싼 대가를 치를 수 있음을 항상 명심해야 합니다.
① 패턴의 식별: 상승 추세의 고점에서 '장대양봉 → 작은 캔들(샛별) → 장대음봉'의 3단 조합이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갭의 유무와 세 번째 음봉의 길이를 통해 신호의 강도를 판단합니다.
② 매도 시점: 가장 확실한 매도 시점은 세 번째 장대 음봉이 완성되는 것을 확인한 후의 종가입니다. 이 지점은 상승 추세가 끝났다는 것이 거의 확인되는 순간이므로, 보유 물량을 정리하거나 이익을 실현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③ 리스크 관리: 만약 석별형 패턴을 이용해 공매도 전략을 구사한다면, 손절매 기준선은 패턴의 최고점, 즉 두 번째 캔들(샛별)의 고점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주가가 이 가격을 다시 넘어선다는 것은, 석별형 패턴이 실패하고 상승 추세가 지속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 참고자료: 유투브 김종철의 '원 포인트 레슨', 한국경제TV의 국고처 김종철편의 강의 내용들, 도서「김종철의 최적투자 33 혁명」, 언론 보도 및 웹 검색 등을 종합한 저의 개인적인 정리 내용임을 밝혀 둠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주가지도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도 징후 포착 패턴 : 8. 쌍봉 패턴 (0) | 2025.08.19 |
---|---|
매도 징후 포착 패턴 : 7. 5파동 음봉 패턴 (0) | 2025.08.18 |
매도 징후 포착 패턴 : 5. 음양음 저점 붕괴형 (0) | 2025.08.17 |
매도 징후 포착 패턴 : 4. 음포선 (0) | 2025.08.16 |
매도 징후 포착 패턴 : 3. DGD 패턴 (0)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