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주식 시장에서 버블 장세가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미국 주식 시장은 경기가 나름 괜찮은 상황에서 금리까지 인하하고 있어, 이는 버블 장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버블 장세에서 투자자가 취해야 할 전략은 무엇인가?
○ 주가가 원래 가던 방향으로 가는 '관성'을 인정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 너무 많이 올라가면 과다 이격을 줄이는 '회귀성'이 나타나므로, 돌아오는 시점을 활용해야 합니다.
○ 아직 미국 주식에 투자하지 않은 포모족들이 뒤늦게 뛰어드는 '가속성' 시기가 가장 돈을 많이 버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를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25.9.20일 기준, 이 글은 미국 주식 시장의 버블 장세와 국내 주식 시장의 부양책 기대감을 핵심 축으로, 투자자들이 현재 시장에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관세, 감세, 규제 완화)이 미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금리 인하의 본질적 의미를 명확히 분석하여, 단순한 시장 예측을 넘어 깊이 있는 경제적 통찰을 제공합니다. 특히 엔비디아, 팔란티어, 뉴스케일파워 등 실제 성공 사례와 함께, 조선, 방산, 반도체, 로봇, 전력 등 국내 유망 섹터의 매수 타이밍과 분할 매수 전략을 상세히 알려주어, 투자자들이 시장의 변동성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세울 수 있도록 돕습니다.
1. 미국 주식 시장 분석 및 투자 전략
1.1. 미국 시장의 신고가 경신과 바닥점 예측
1) 미국 증시의 신고가 경신: 다우, 나스닥, S&P 500지수가 모두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상황이다.
2) 주가 바닥점 예측:
○ 과거 주가가 6,100선에서 하락하기 시작했을 때, 4,880포인트가 바닥점이라고 예측했다.
○ 이 예측은 6,100선에서 20% 하락한 지점을 계산한 결과이며, 이는 공포 분위기 속에서도 절호의 매수 기회였다.
3) 트럼프 지수와 매수 기회:
○ 4,880선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전 주가인 5,712포인트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 현재 6,700선 아래는 여전히 매수하기 편안한 절호의 찬스이다.
1.2.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시장 영향
1) 트럼프 정책의 3대 축: 트럼프 대통령은 3대 정책을 표방하며 미국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관세 정책: 이미 시행되어 초기에 악재로 작용했으나, 이후 호재가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 감세 정책: 기업의 실적 호전으로 이어져 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된다. 2017년과 2018년 미국이 금리를 여러 차례 인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우상향한 것은 기업 실적 개선(법인세 35%→21% 인하) 덕분이다.
○ 규제 완화: 정부의 시장 개입을 줄이는 정책으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후 파리 기후협약 탈퇴 등이 그 예시이다. 이는 트럼프를 믿고 투자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로 제시된다.
2) 통화 스와프와 외환 보유고:
○ 한국의 외환 보유고 4,100억 달러 중 3,500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하라는 요구는 한국에게 큰 부담이다.
○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 스와프를 맺어주지 않는 것은 한국의 외환 위기 시 위험을 가중시킨다.
○ 일본은 1조 2천억 달러의 외환 보유고 중 5,500억 달러를 투자하고도 강력한 통화 스와프를 맺고 있어 안정적이다.
○ 달러 인덱스에 포함된 대부분의 국가(영국, 스위스 등)는 미국과 자유롭게 통화 스와프를 맺고 있다.
1.3. 미국 시장 투자 원칙 및 종목 전략
1) 트럼프를 믿고 투자하는 이유:
○ 개인적인 감정(관세 정책 등으로 인한 분노)을 배제하고 투자자의 수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 트럼프의 정책은 미국 유일주의로 가기 때문에 미국 시장 투자는 필수적이다.
○ 트럼프가 시장에 불리하면 말을 바꾸는 '타코(Taco)' 전략을 사용하더라도, 이는 오히려 투자자에게 돈을 벌 기회를 제공한다.
2) 미국 시장 투자 방법:
○ 매수 타이밍: 주가가 올라가다가 5일선에 닿을 때마다 10%씩 분할 매수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 지수 ETF 활용: 시장이 상승할 때는 지수 ETF(예: S&P 500과 연결된 SPY)를 기본적으로 매수해야 한다.
SPY는 500개 종목을 골고루 매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 레버리지 ETF 활용: 5일선 쌍바닥이 20일선을 돌파하는 '진돗개 원리' 매수 시점에는 SPXL( S&P 500 3배 레버리지)이나 TQQQ( 나스닥100 3배 레버리지)와 같은 레버리지 ETF를 과감하게 매수해야 한다.
○ 미국 시장의 특징: 미국 시장은 '꼭지가 없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투자 기법 중 하나이다.
다만, 중간 마디가 존재하며, '낙타 등'과 같은 매도 신호가 나올 때만 조심해야 한다.
1파가 강하면 3파가 있기 때문에 2파 조정 시 매수 기회로 삼아야 한다.
3) 미국 시장의 버블 장세와 주가의 3가지 성질:
○ 미국 시장은 버블 장세를 겨냥하여 투자해야 한다.
○ 주가의 3가지 성질:
① 관성: 주가는 원래 가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성질이 있다.
② 회귀성: 너무 많이 오르면 20일선까지 돌아와 과다 이격을 줄이려는 성질이 있다.
③ 가속성: 포모(FOMO) 투자자들이 뒤늦게 시장에 뛰어들면서 주가가 급등하는 성질로, 아직 이 단계는 오지 않았다.
○ 월가의 분위기: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주가가 너무 올랐다고 하지만, 매도 신호가 없으면 계속 가져가야 한다.
○ 버블 장세 활용: 버블을 만드는 시기가 가장 돈을 많이 버는 시기이므로, 즐기되 탐하지 않는 자세가 필요하다.
매도 신호가 나오면 도망갈 준비를 해야 하지만, 지금은 내려갈 때마다 매수해야 한다.
4) 주도주 및 성공 사례:
○ 엔비디아: 200달러에 매수하여 1,500달러 이상 갈 것을 예상했으며, 매도 신호가 없었기 때문에 계속 보유했다.
- 사우디 방문 이후 규제 완화와 함께 첨단 AI 판매가 이루어지면서 다시 매수 기회가 발생했다.
- 엔비디아는 81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 엔비디아는 AI 하드웨어 업체로서 작년 시장을 주도했다.
○ 팔란티어: 엔비디아 이후 올해의 주도주로 제시되었으며, 14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 뉴스케일파워: 소형 원자로(SMR) 관련 종목으로, 데이터 센터 옆에 소형 원자로를 짓는다는 개념으로 공략하여 30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 오라클: 17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 아이온큐: 양자컴퓨터 관련 종목으로, 19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 오클로: 뉴스케일파워가 너무 올라갔을 때 대신 잡아준 종목으로, 10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2. 국내 주식 시장 분석 및 투자 전략
2.1. 국내 시장의 상승 배경과 투자 원칙
1) 국내 시장의 상승 배경:
○ 작년 12월 말 2,399선에서 바닥을 예측하며 올해 국내 시장이 미국 시장보다 더 많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 국내 시장은 경기가 좋아지거나 금리가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 아니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현상 때문에 올라가는 것이다.
○ 3단 콤보 전략:
- 1단 콤보: 선거 앞에 악재가 없다는 원칙.
- 2단 콤보: 선거 이후 대통령 대선 랠리가 있다는 원칙.
- 3단 콤보: 6월부터 3개월 동안이 가장 좋은 배팅 찬스라는 원칙.
○ 부양책 기대감: 기재부의 50억에서 15억으로의 양도소득세 기준 하향 조정과 부총리의 PBR혼동 발언 등은 오히려 주가 조정 후 상승 동력이 되어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 아직 마지막 부양책인 배당 소득세 분리 과세(25%로 인하)가 남아있으므로, 조정 시 매수 기회로 삼아야 한다.
2) 국내 시장 목표 PBR: 현재 PBR1.1배에서 1.3배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지수 4,000선에 해당한다.
3) 국내 시장 투자 방법:
○ 지수 ETF 활용: 국내 시장에서도 12630(KODEX 200)이나 065(KODEX 레버리지)와 같은 ETF를 활용하여 투자해야 한다.
○ 분할 매수: 주가가 조정받을 때마다 10%씩 분할 매수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 단기/장기 매수 전략:
-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5일선 근처에서 매수한다.
-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20일선 근처에서 매수한다.
2.2. 국내 유망 섹터 및 종목
1) 조선/방산/우주항공:
○ 조선주: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자마자 조선 분야 협력을 요청한 것은 미국이 중국과의 군사 경쟁에서 조선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미 협약이 아직 조인되지 않아 주춤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며, 하락 시 매수 기회로 삼아야 한다.
- 한화오션: 이미 20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현재 213%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 STX엔진, 세진중공업: 20일선에 들어왔을 때 10%씩 분할 매수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 방산주: 현대 로템 등 방산 관련 종목들도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다.
○ 우주항공주:
- 쎄트렉아이: 60일선과 240일선이 정배열되고 20일선이 턴할 때 매수하는 기법을 활용하여 40% 이상의 수익을 기록했다.
미래 전쟁이 우주에서 벌어질 것을 대비하여 CSI와 같은 종목도 장기적으로 보유해야 한다.
○ 전력주:
두산에너빌리티: 20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전력 관련 3대 종목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봐야 한다.
반도체주:
SK하이닉스: HBM4와 연결되어 있으며, 150% 정도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테크윙, 하나머티리얼즈, 원익홀딩스, 하이젠알앤엠, 삼성전기: 종가 공략주로 제시되며, 조정 시 분할 매수해야 한다.
제주반도체, 에프에스티, 유니테스트, 와이씨, 디아이: 조정 시 분할 매수해야 할 종목들이다.
○ 로봇주:
- 로봇 산업의 중요성: 중국의 저가 로봇 홍수 속에서 미국은 로봇 산업에 매우 진심이며, 메타, 테슬라, 구글, 애플 등 빅테크 기업들이 로봇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 로봇은 제2의 조선: 미국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로봇 기술이 필요하듯이, 로봇 산업은 미래의 핵심 산업이다.
- 로보티즈: 유상증자 발표로 단기 조정이 있었으나, 스마트 액추에이터 기술 강점과 공장 확충을 위한 증자이므로 유상증자를 받는 것이 유리하다. 테슬라의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과 연결되는 종목으로, 1/3 정도 수익을 챙기고 나머지는 보유하며 하락 시 매수해야 한다. 로보티즈는 흑자 기업이다.
- 원익홀딩스: 비상장 회사인 원익 로보틱스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관심 종목이다.
-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 관련 로봇주로, 500%의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현재 340%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 클로봇, 에브리봇: 에브리봇은 현재 적자 기업이지만, 앞으로 흑자 전환이 기대되므로 분할 매수해야 한다.
- 에스피지(감속기), 하이젠알앤엠: 로봇 관련 핵심 부품주로 주목해야 한다.
○ 기타 유망 종목:
- HD현대건설기계: 재건 관련주이자 합병 메리트가 있으며, 42% 정도의 수익을 기록 중이다.
- RFHIC: 주파수 경매 관련주로, 80% 정도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 DSC인베스트먼트: 지분 투자 관련 관심주이다.
3. 금리 인하의 본질적 의미와 투자 전략
1) 금리 인하의 본질:
○ 금리 인하는 무조건 호재이다.
○ 금리 인하가 악재로 인식되는 경우는 금리 인하의 배경이 경기 침체일 때이며, 이때는 경기 침체로 인한 악재의 영향이 금리 인하로 인한 호재의 영향보다 크기 때문이다.
2) 미국 시장의 금리 인하 전망:
○ 올해 두 번, 내년에 한 번 정도의 금리 인하가 예상된다.
○ 만약 내년에 금리를 왕창 내린다면, 이는 연준 의원들이 경기 침체를 예상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어 문제가 될 수 있다.
○ 하지만 현재는 경기 침체를 예상하지 않으며, 내년 미국의 기업 성장률(EPS 증가율)도 올해보다 양호할 것으로 전망된다.
3) 금리 인하와 버블 장세:
○ 경기가 나름 괜찮은 상황에서 금리까지 내린다면, 이는 버블 장세로 이어질 수 있다.
○ 버블 장세에서는 주가가 가장 많이 상승하므로, 이 시기를 즐기되 탐하지 않는 자세가 중요하다.
4) 매도 전략:
○ 매도 신호(예: '쌍둥이' 패턴)가 나오면 즉시 도망갈 준비를 해야 한다.
○ 과거 3~4년 만에 처음으로 인버스 매수를 제시했던 사례처럼, 매도 기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자료 및 유의 사항:
- 유투브 김종철의 '원 포인트 레슨', 한국경제TV의 국고처 김종철편의 강의 내용들, 도서「김종철의 최적투자 33 혁명」, 언론 보도 및 웹 검색 등을 종합한 저의 개인적인 정리 내용임을 밝혀 둠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 investtowise.com은 개인적인 투자 공부 및 투자 관련 정보 제공 사이트로, 투자 관련 교육이나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투자 결정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조언을 반드시 참고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본 정보는 개인적이고 일반적인 참고용으로, 투자 관련 결정은 신중히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시황 및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9.25] 한미 주식 전략: 고평가 구간 전략과 제2의 로보티즈와 아이온큐 (0) | 2025.09.25 |
---|---|
[25.9.23] 한미 주식전략: 버블장세 공략하기와 한미 신고가 전략 (0) | 2025.09.25 |
[25.9.18] 한미 주식전략: 제롬 파웰 연설 대비전략과 제 2의 구글 크라토스 아이온큐 잡기 (0) | 2025.09.18 |
[25.9.16] 한미 주식전략: 9월 FOMC전략과 7공주 주도주 (0) | 2025.09.17 |
[25.9.12] 한미 주식전략 : 한미 주도주 수익내기 (0) | 202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