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가지도 분석의 핵심 기법: 22. TT종류와 23. 분봉 하방 포착

by 지혜로운 투자정보 2025. 8. 1.
반응형

22. TT 종류  - 하락 추세 강화의 신호

TT(Double Top, 쌍봉)는 상승 추세가 마무리되고 하락으로 전환될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천장형 패턴입니다. 특히, 20일 이동평균선이 하락 추세를 보이는 약세장으로 전환되기 전에, 단기적인 5일 이동평균선이 TT 패턴을 형성하며 실패하는 하락 추세가 더욱 강화될 것임을 예고하는 매우 중요한 신호입니다. 이 5일 이동평균선의 TT패턴의 3가지 유형을 통해 하락의 강도와 임박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22. TT(쌍봉)의 3가지 유형에 대한 도식화
22. TT종류(쌍봉)의 3가지 유형에 대한 도식화

가. 숏텀 TT - 단기 반등의 실패

1) 형태: 5일선이 만드는 두 개의 봉우리가 시간 간격이 좁고 반등 폭도 작아, 마치 작은 M자 모양을 그리는 형태입니다.

2) 의미: 하락 추세가 워낙 강력하여, 매수세가 아주 잠깐의 기술적 반등조차 제대로 이끌어내지 못하고 곧바로 매도 압력에 굴복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장의 매수 심리가 극도로 위축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약한 반등 이후 재차 하락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나. 롱텀 TT  - 기간이 길어진 반등의 실패

1) 형태: 5일선이 만드는 두 개의 봉우리가 숏텀 TT에 비해 시간적으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고, 반등의 기간도 긴 형태입니다.

2) 의미: 숏텀 TT보다는 매수세가 더 힘을 내어 하락에 저항했지만, 결국 이전 고점의 저항을 넘지 못하고 재차 하락으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당 기간 동안 매수세가 저항을 돌파하려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했기 때문에, 실망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합니다.

다. 하방 TT - 가장 강력한 하락 신호

1) 형태: 5일선이 첫 번째 고점을 형성한 후, 재차 반등하여 만든 두 번째 고점이 첫 번째 고점보다 낮은 형태(고점 하락)의 쌍봉입니다.

2) 의미: 이것은 TT패턴 중 가장 약하고 위험한 형태입니다. 두 번째 반등에서는 매수세의 힘이 첫 번째 반등 때보다도 약해서 이전 고점 근처에도 가지 못하고 힘없이 무너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3) 가장 강력한 이유: 고점이 낮아졌다는 사실 자체가 매수세의 힘이 명백하게 소진되었다는 것을 시장에 증명하는 것입니다. 이는 하락 추세가 의심의 여지없이 지속될 것임을 알리는 가장 명확한 신호이며, 이후 더 가파르고 빠른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최악의 패턴입니다. 투자자는 이 패턴이 나타날 경우 즉각적인 리스크 관리에 들어가야 합니다.


라. 주식투자의 전략 적용

20일선이 하락하는 약세장에서는 반등을 이용한 매매가 매우 위험하며, 5일선이 형성하는 TT 패턴은 훌륭한 리스크 관리의 기준점이 됩니다.

■ 숏텀 TT & 롱텀 TT: 이 패턴들이 나타나면, 이는 반등이 실패하고 중기의 20일선이 하락 추세로 전환될 확률이 매우 높다는 신호입니다. 신규 매수는 절대 금물이며, 보유 주식이 있다면 이익 실현 또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매도 시점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하방 TT: 이는 단순한 위험 신호가 아닌, 하락 추세에 대한 확정 선고와 같습니다. 이 패턴이 완성되는 순간은 즉각적인 매도 또는 시장 퇴출을 결정해야 하는 최후의 경고입니다. 또한, 공격적인 투자자에게는 하락 추세가 확인된 가장 강력한 공매도 진입의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23. 분봉 하방 포착 - 일봉과 분봉의 공조

분봉 하방 포착은 일봉 차트에서 하락 전환의 '경고 신호'를 먼저 인지하고, 30분봉 차트에서 '확인 사살'의 급소를 포착하여 최적의 타이밍에 매도하는, 정교한 톱다운(Top-down) 분석 기법입니다. 이는 숲(일봉)의 변화를 먼저 읽고, 나무(분봉)의 흔들림을 통해 정확한 행동 시점을 결정하는 전략입니다.

23. 30분봉 하방 포착의 이해를 위한 도식화
23. 30분동 하방 포착의 이해를 위한 도식화

가. 1단계 (일봉): 하락 추세의 경고등을 확인하라

1) 핵심 신호: "5일선 데드크로스 이후 첫 반등"

■ 5일선 데드크로스: 단기 생명선인 5일 이동평균선이 그보다 상위의 10일선이나 20일선을 하향 돌파하는 데드크로스는, 단기적인 상승 추세가 꺾이고 하락으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첫 번째 위험 신호입니다.

첫 반등 시 매도 고려: 데드크로스 이후 주가가 기술적으로 잠시 반등하더라도, 이는 하락 추세 중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죽은 고양이의 반등, Dead Cat Bounce')일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첫 반등의 고점은 하락 추세가 본격화되기 전, 보유 물량을 정리할 수 있는 최적의 매도 기회가 됩니다.

오른쪽 이미지 분석: 오른쪽 일봉 차트를 보면, 5일선(붉은색 선)이 20일선(검은색 선)을 하향 이탈하는 데드크로스가 발생한 후, 주가가 5일선 부근까지 반등했지만 저항에 부딪히고 재차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지점이 바로 일단 매도를 고려해야 할 1차 경고 구간입니다.


나. 2단계 (30분봉): 하락의 급소를 포착하라

1) 핵심 신호: "30분봉 역AR(역배열) 발생 시 유의"

■ 30분봉의 역할: 30분봉은 일봉보다 훨씬 더 세밀하게 주가의 힘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일봉상 매도 고려라는 전략을 세웠다면, 이제 30분봉을 통해 언제 실행할 것인가라는 구체적인 타이밍을 잡아야 합니다.

역N자형 역AR (역배열 전환): 역AR은 역배열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30분봉 차트에서 단기 이평선(예: 5이평선)이 중기 이평선(예: 20이평선)을 하향 돌파하며, 모든 이평선이 역배열(장기→중기→단기 순)로 전환되는 순간을 말합니다.

왼쪽 이미지 분석: 왼쪽 30분봉 차트를 보면, 일봉상 반등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30분봉의 이동평균선들이 역배열로 전환되며 하락세가 본격화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최종 매도 실행:

일봉에서 5일선 데드크로스 후 반등이 나타나고, 그 반등의 힘이 잦아들며 30분봉에서 역N자형의 역배열이 발생하는 순간, 이는 단기적인 힘의 균형마저 완전히 하락으로 기울었음을 확인시켜 주는 강력한 매도 신호입니다. 이 지점에서 매도함으로써, 우리는 추측이 아닌 확인을 통해 가장 확률 높은 지점에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 결론:

이 전략은 큰 추세(일봉)와 단기 추세(분봉)를 결합하여, 성급한 판단과 감정적인 매매를 배제하고, 객관적인 신호에 따라 행동하게 만드는 매우 논리적인 매매 기법입니다.

 

 참고자료: 유투브 김종철의 '원 포인트 레슨', 한국경제TV의 국고처 김종철편의 강의 내용들, 도서「김종철의 최적투자 33 혁명」, 언론 보도 및 웹 검색 등을 종합한 저의 개인적인 정리 내용임을 밝혀 둠을 참고 하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