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시황 및 전략

[25.10.29]한미 주식전략: 미국 신고가 언제까지? 베스트 수익종목은?

by 지혜로운 투자정보 2025. 10. 30.
반응형

주식 시장의 주도주 포착 공식강세장 대응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는 내용입니다. 연초 장대 양봉과 적삼병을 통해 주도주를 선별하는 '99.99% 기법'을 공개하며, 로봇(원익홀딩스, 로보티즈), 조선(한화오션), 전력(효성중공업) 등 실제 고수익 종목의 포트폴리오를 통해 그 실효성을 증명합니다. 특히, 시장이 버블 논란에 휩싸일 때도 "강한 것이 아름답다(Strong is Beautiful)"는 원칙 아래, 지수ETF(SPY,QQQ)와 M7 종목에 분할 매수(10%씩)하는 실용적인 투자 행동 지침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시장 상황 분석 및 매수 기법 공개

1) 현재 시장 상황 진단:

○ 최근 시장은 활활 불타오르는 불장 상태이다.

지수가 4,000선을 깨면서 일부 투자자들이 불안해했으나, 하루 만에 4,100선 근처까지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2) 하락 시 적극적 매수 기법 (번개 차트 활용):

어제 4,000선 아래로 하락했을 때 가장 적극적으로 매수한 종목은 레버리지 상품이다.

이 매수 기법은 회원들에게 아침에 설명되었으며, 일반 투자자들도 알아두면 매우 유용하다.

번개 차트 기법:

  - 주가가 하락할 때 분봉을 열어 빨강이 아니었다가 빨강일 때 배팅하는 방법도 있지만, 더 재미있는 방법은 파생의 번개 차트를 씌우는 것이다.

  - 이 번개 차트(무료 버전도 있음)를 뿌린 후, 번개 표시가 녹턴이 될 때마다 레버리지를 매수한다.

  - 투자금액이 100만 원이라면, 낮아질 때마다 100만 원씩 분할 매수하는 방법이 가장 편하다.

  - 이 기법은 장이 살아 있다고 느낄 때, 4,000선을 깨더라도 '살아 있다'고 판단되면 적용할 수 있다.

 

2. 베스트 수익 종목 포트폴리오 및 주도주 포착 공식

2.1. 로봇 및 조선 주도주 사례와 '강한 것이 아름답다' 원칙

1) 텐베거(Ten Bagger) 종목의 출현지:

텐베거는 상승률 상위 종목에서 가장 먼저 나온다.

올해 연간 상승률 상위 1등 종목은 원익홀딩스이다.

원익홀딩스는 장중 상승률이 1,117%에 달했으며, 현재도 1,054%의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 원익홀딩스는 원래 비상장 회사인 원익로보티즈와 관련된 종목으로, 투자자들에게 원익홀딩스를 대신 매수하도록 권유했다.

 - 원익홀딩스와 비슷한 패턴을 보인 로보티즈는 현재 연간 수익률이 788%이다.

 

2) 로봇 주도주 선정 이유 (로봇 손):

로봇은 세상을 바꾸는 종목이지만, 그중에서도 원익홀딩스와 로보티즈를 추천한 이유는 로봇 손과 관련된 종목이기 때문이다.

로봇 손은 로봇 부품 중 가장 정교하고, 돈이 되며, 인간답게 구현할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3) 조선 주도주 사례 (한화오션):

로보티즈와 같은 종목들은 제2의 한화오션과 같다고 언급했다.

한화오션은 올해 연초 원픽으로 꼽혔던 주도주이며, 10만 원대에서 잠시 멈췄으나 이는 이상한 조정이 아닌 자연스러운 조정이었다.

조정 후 14만 원대까지 상승했으며, 현재 오늘 기준으로 수익률은 270%이다.

주도주의 기본 속성: 주도주는 간 것이 더 간다. 안 간 종목이 조정받을 때 틈새를 메꾸는 것은 딱 거기까지이다.

핵심 원칙: 강한 것이 아름답다 (Strong is Beautiful)는 원칙을 잊지 말아야 한다.

 

4) 주도주 포착 공식 (99.99% 기법):

한화오션은 연초에 장대 양봉을 포함한 적삼병을 주었던 종목이다.

한번 주도주로 뽑힌 종목은 웬만해서는 주도주에서 내려가지 않으며, 계속 그 방향으로 움직인다.

주도주의 특징은 세상을 바꾸는 종목군에 속한다는 것이다.

주도주 포착 기법: 연초에 장대 양봉을 주고, 여기에 적삼병을 줘 버리면 이 종목은 거의 십중팔구 주도주가 된다.

이 기법은 100%는 아니지만, 99.99% 기법이라고 부를 만큼 확립도가 높다.

이 공식은 2026년도 주도주를 공략하는 공식이기도 하다.

이유: 연초에 메이저급 큰손들이 다음 해 가장 빛날 종목을 집중적으로 매수할 때 장대 양봉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5) 퍼펙트 패턴 (Perfect Pattern) 기법:

한화오션이 주가 상승을 시작할 때, 240선(대세선) 위에 60일선이 돌아가고(언더 레벨), 그 위에 주가가 올라탔을 때(완벽한 상태)를 퍼펙트 패턴이라고 한다.

한화오션은 올해만 장중 284%까지 상승했다.

 

2.2. 실제 포트폴리오 수익률 및 텐베거 공식 증명

1) 조선주 포트폴리오:

조선의 원픽 종목은 한화오션(수익률 270%)이었다.

이전에 잡았던 종목 중 HD한국조선해양은 이미 303%를 기록 중이다.

 

2) 로봇주 포트폴리오 (레인보우로봇):

로보티즈 공략 이전에 먼저 공략했던 종목은 레인보우로봇이다.

레인보우로봇은 현재 수익률이 400%이며, 최고 수익률은 518%였다.

공략 시점: 2022년도에 공략했다.

공식 적용: 2022년 당시 레인보우로봇의 모양은 60일선 N자, 20일선 N자 패턴이었다.

추가 기법 공개: 빅골드 다음에 60일선 N자 돌고 20일선 N자로 도는 종목은 반드시 일정 부분 보유해야 한다.

 

3. 미국 주식 포트폴리오와 주도주 공식의 일관성

1) 엔비디아 (NVIDIA) 사례:

엔비디아도 60일선 N자, 20일선 N자 패턴으로 똑같이 움직였다.

현재 포트폴리오에서 엔비디아의 상승률은 +946%이다.

주도주 공식 적용: 엔비디아가 작년에 주도했던 이유는 한화오션처럼 연초에 장대 양봉과 적삼병을 포함했기 때문이다.

 

2) 주도주 보유 전략:

한번 잡은 종목이 아니면 중간에 상계 처리하여 매도하고, 갈 종목(예: 레인보우로봇)은 400% 수익에도 계속 가지고 간다.

최근 공략한 로보티즈도 +131%의 수익을 내고 있다.

로보티즈는 증자 발표 시점(8만 원, 9만 원대) 근처에서 공략했으며, 현재 20만 원을 돌파했다.

매수 찬스 포착: 주도주가 올라가다가 조정을 받으면 20일선부터 잡아가야 하는 절호의 찬스가 온다.

 

3) 미국 지수 투자 전략 (SPY, QQQ):

미국 지수도 20일선 근처에 놓이면 매수해야 한다.

SPX(S&P 500)는 4,880 아래가 절호의 찬스였으며, 세 배수 레버리지 상품인 SPXL을 공략했다.

현재 6,800까지 갔지만, 6,700 아래에서는 조정받으면 절호의 찬스라고 지속적으로 강조했다.

투자 현황: 회원들은 SPY, QQQ, 엔비디아, 팔란티어 등을 보유하며 미국 주식 부자가 되었다.

핵심 메시지: 미국 시장은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찬스가 남아 있다.

 

4) 국내외 시장 대응 전략 요약:

국내장: 4,000선 아래 조정은 매수이다.

미국장: 6,700 아래는 무조건 모아가야 한다.

 

4. 전력주 주도주 포트폴리오 및 AI 시대의 투자 방향

1) AI 시대의 주도주 (전력주):

과거 골드러시 때 금을 찾던 사람보다 청바지나 곡괭이를 팔던 회사가 돈을 벌었듯이, AI 시대에는 전기 먹는 전력주가 중요하다.

LS일렉트릭: 현재 날아가고 있으며, 손실난 종목과 상계 처리하기 위해 일부 매도했다.

효성중공업: 현재 기준 수익률 347%이며, 예상 수익률은 374%이다. 일부를 줄였어도 계속 보유 중이다.

두산에너빌리티 (원전 관련): 오늘 기준으로 수익률 +379%이다.

일진전기: 새로 공략한 종목으로 현재 100% 미만(약 40%)의 수익을 기록 중이다.

 

2) 반도체 주도주:

SK하이닉스: 오늘 기준으로 수익률 +329%이다.

삼성전자: 오늘 기준으로 수익률 +73%이다.

 

5. 지수 투자 강조 및 시장 관성 분석

1) 지수 투자 최우선 전략:

주도주는 바뀌어도 종합 지수는 거침없이 올라왔다.

국내장: 12630 (코스피 레버리지)을 갖고 있는 사람이 왕이다.

미국장: SPYQQQ를 갖고 있는 사람이 마음 편하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왕이다.

지수가 올라가면 지수와 연결된 종목에 최우선 30% 이상을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은 투자 방법이다.

실제 보유 종목: SPXL(S&P 500 세 배수), TQQQ(나스닥 세 배수)를 실제로 보유하고 있다.

 

2)  버블 논란과 시장 관성:

시장이 버블 논란에 휩싸일 때, 버블에 올라타서 손실 입을까 봐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버블에 동참하지 못했을 때가 더 걱정된다.

주가는 관성, 회귀성, 가속성을 가지며, 이 가속성을 먹어야 한다.

가속성 조건: 60일선이 N자로 꺾이는 '어나덜 레벨'이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은 도망갈 필요가 없다.

파동 분석: 현재 강한 상승은 20일선 파동의 1파였으며, 여전히 먹을 것이 큰 것은 60일선 파동의 1파가 강하기 때문이다.

미국 시장 역시 60일선 파동이 절대 오지 않은 상태이다.

 

6. 과거 시장 예측 성공 사례 및 매도 기법의 중요성

1) 2020년 코로나 폭락장 예측:

2020년 코로나 폭락 당시, "투 이얼스(Two Years) 장이 온다"고 예측했다.

이후 "인디언의 기우제가 시작됐다"고 말하며 대박을 누리라고 권유했다.

주가가 상승한 후에는 반드시 매도를 끊어 드렸으며, 다시 갈 때는 녹색 캔들, 부력존라며 매수를 잡아 드렸다.

 

2) 2023년 시장 예측:

작년 10월, "올해는 미국이 조정받아도 우리 장은 올라간다"고 예측하며 국내장을 밀어붙였다.

2,399 지수는 PBR 기준으로 0.8배로 바닥이라고 판단했다.

핵심 주장: 버블은 도망갈 버블이 아니라 올라타야 하는 버블이며, 버블이 터지기 전에 주가가 올라갈 때가 가장 큰 상승을 보이기 때문에 이 레코드를 믿어야 한다.

 

3) 매도 기법의 중요성:

주가가 꼭지에서 터지면 최소 1년(하락장 18개월)을 쉬어야 하며, 강한 상승 후에는 기본 2년은 손가락 빨고 있어야 한다.

이 기간 동안에는 매도를 배워서 하락하는 것으로 수익을 벌어야 한다.

현재 시장을 밀어붙이는 이유: 매도 기법에 따른 매도 신호가 아직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엔비디아 역시 현재는 매도가 나올 수 없는 상태이다.

 

7. AI 혁명의 지속성과 시장의 호재

1) 엔비디아 파동 분석 및 장기 전망:

엔비디아는 과거 5파동(1-2-3-4-5)이 끝난 후 데드(조정)를 주었으며, 현재 다시 올라가는 것은 새로운 1파이다.

패러다임 시프트: AI 혁명은 인터넷 혁명보다 더 대단하며, 빌 게이츠도 이를 인정했다.

패러다임 시프트는 기본이 10년 이상 지속된다. AI는 시작된 지 약 3년째이므로, 아직 절반까지는 밀어붙여도 된다.

 

2) 버블 붕괴 시점 예측:

버블이 터진다면 내년 이후에 터질 것이다.

따라서 올해가 가기 전에 지수와 연결된 종목에 배팅해야 한다.

 

3) 시장의 대형 호재 (소프트웨어적 내용):

JP모건의 투자: 엔비디아가 오픈AI에 투자하는 등의 순환 출자 논란이 있었으나, JP모건이 앞으로 10년 동안 1조 5천억을 투자하는 생돈 투자를 발표한 것이 엄청난 호재이다.

루빈 양산: 엔비디아가 내년부터 루빈을 본격적으로 양산한다는 재료도 있지만, 새로운 자금(생돈)이 들어온다는 것이 더 큰 호재이다.

 

4) 시장의 대형 호재 (거시 경제적 내용):

경기 및 금리: 경기는 내년에도 좋고, EPS 증가율도 좋다.

양적 긴축(QT) 중단 가능성: 단기 금리보다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떨어지는 것이 중요하며, 제롬 파월이 양적 긴축 중단을 암시하면 주가가 순간적으로 충돌받을 수 있지만, 이는 엄청난 대형 호재가 된다.

QT 중단 이유: 실업률 때문이다.

 

5) 로봇의 역할과 실업 증가:

아마존이 2033년까지 일자리를 60만 개 줄이고 로봇을 대신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로봇이 일자리를 대체하는 사상 최대의 실업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마존뿐만 아니라 모든 빅테크 기업들이 같은 행동을 할 것이며, 시카고 연준에서는 현재 실업률이 약 4.2%로 추정된다.

결론: 경기는 좋은데 돈이 풀리고, 버블이라고 생각하여 시장에 들어오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오히려 대형 호재이다.

 

8. 최종 투자 전략 및 결론

1) 연준의 행동 예측:

연준은 결국 금리를 계속 내릴 수밖에 없고, 양적 긴축(QT)을 중단할 수밖에 없으므로 시장은 날아갈 것이다.

어느 날 갑자기 엄청난 부자가 되었다고 느끼는 날들이 연속될 때 사람들은 패닉에 빠질 것이다.

 

2) 현재 투자 시점 및 방법:

올해가 주식 매매하기 가장 좋은 시기이다.

매수 종목: 국내장은 12630, 미국장은 SPY나 QQQ를 매수해야 한다.

분할 매수 원칙: 내려갈 때마다 10%씩만 쏘아야 한다.

최고의 수익 종목: 이번 장에서 가장 자랑스러운 것은 SPY, SPXL, TQQQ를 잡아드린 것이며, 국내장에서는 12630을 잡아드린 것이다.

 

3) 미국 주식 투자 종목:

마더보드 투자 다음에 M7 종목에 배팅해야 한다.

엔비디아, 팔란티어,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브로드컴, TSMC, 테슬라 등을 매매해야 하며, 다른 종목을 매매할 필요가 없다.

이 종목들은 아직 어나덜 레벨이 시작되지 않았다.

 

4) 최종 결론:

미국 신고가 언제까지?: 최소한 내년까지이다.

베스트 수익 종목: 조정받을 때마다 주도주(반도체, 전력주, 조선주, 로봇주)를 쏘아야 하며, 코스피는 12630, 미국장은 SPY와 QQQ가 최고의 베스트 수익 종목이다.

경고: 이번 장을 놓치면 주가가 빵 터질 때 1년 이상을 쉬어야 한다.

현재 시장: 지금의 버블은 올라타야 하는 버블이지 도망가야 하는 버블이 아니다.

 

< 표로 보는 요약 > 

구분 기회 (상승 요인) 위험 (하락 요인)
시장 전반 강한 상승 관성 및 가속성: 주가는 관성, 휘성, 가속성을 가지며, 현재 가속성 구간에 진입 버블 붕괴 시 장기 침체: 버블 붕괴 시 최소 1년 휴식, 2년 손가락 빨아야 함 (하락장 18개월)
  주도주 공식: 연초 장대양봉 + 적산병 패턴 종목은 주도주가 될 확률 99.99% 매도 신호 미확인: 현재 매도 신호가 없어 밀어붙이고 있으나, 신호 발생 시 급락 가능성
  AI 혁명: 빌 게이츠가 인터넷 혁명보다 더 대단하다고 평가, 기본 10년 이상 지속될 패러다임 시프트 실업률 증가: 아마존 등 대기업의 로봇 대체로 인한 대규모 실업 현실화 (시카고 연준 4.2% 전망)
미국 시장 금리 환경 개선: 단기 금리보다 중요한 10년 만기 국채 금리 하락 및 양적 긴축(QT) 중단 가능성 버블 논란: 시장 참여자들이 버블이라고 느끼고 있어 일부 투자자 동참 주저
  신규 자금 유입: JP모건이 오픈AI에 10년간 1조 5천억 원 투자 등 새로운 자금 유입  
한국 시장 지수 저평가: 코스피 2,399선은 PBR 0.8배 수준의 바닥  

 

구분 국내 시장 미국 시장
대표 상품 12630 (코스피 레버리지) SPY, QQQ (지수 ETF)
레버리지 상품 N/A SPXL, TQQQ (3배수 레버리지)
개별 종목 로봇, 조선, 전력 등 주도주 M7 (엔비디아, MS, 애플 등)
투자 원칙 내려갈 때마다 10%씩 분할 매수 내려갈 때마다 10%씩 분할 매수
섹터 핵심 종목 (예시) 수익률 (포트폴리오 기준) 핵심 투자 아이디어
로봇 원익홀딩스, 로보티즈, 레인보우로보틱스 1000%+ (원익), 131% (로보티즈), 400% (레인보우) 로봇 손 등 가장 정교한 부품이 세상을 바꿈
조선 HD 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303%, 270% 주도주로 한번 뽑히면 쉽게 주도주에서 내려가지 않음
전력/에너지 효성중공업, 두산에너빌리티 347%, 379% AI가 전기 먹는 하마이므로 전력 관련주가 필수
반도체 엔비디아, SK하이닉스 946% (엔비디아), 329% (SK) AI 혁명은 인터넷 혁명보다 더 대단하며, 10년 이상 지속되는 패러다임 시프트

 

※ 참고자료 및 유의 사항: 

- 유투브 김종철의 '원 포인트 레슨', 한국경제TV의 국고처 김종철편의 강의 내용들, 도서「김종철의 최적투자 33 혁명」, 언론 보도 및 웹 검색 등을 종합한 저의 개인적인 정리 내용임을 밝혀 둠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 investtowise.com은 개인적인 투자 공부 및 투자 관련 정보 제공 사이트로, 투자 관련 교육이나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투자 결정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조언을 반드시 참고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본 정보는 개인적이고 일반적인 참고용으로, 투자 관련 결정은 신중히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