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외경제이슈

(국정43) 국가 기후 적응 역량 강화

by 지혜로운 투자정보 2025. 10. 4.
반응형
○ 핵심 요약: 기후 감시·예측부터 기후 위험 영향 평가까지 과학적 기반을 강화하고, 과학적 기후 변화 감시·예측, 기후 위험 영향 평가, 국가 인프라 대전환, 도시 기후 탄력성 제고, 경제 적응력 강화, 사회 적응력 강화, 기후 적응 컨트롤 타워 정립을 통해 기후 위험에 대비한 국가 인프라 대전환 및 경제·사회 전반의 적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국정43 국가 기후 적응 역량 강화 관련 이미지

 

1) 과학적 기후 변화 감시·예측고해상도 한반도 기상·기후 감시 위성(천리안 5호) 개발·발사 및 1개월~10년까지 예측하는 국가 기후 예측 시스템 개발을 추진합니다.
 
2) 기후 위험 영향 평가: 국가 기후 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사회·경제의 기후 위험 통합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기후 위험 영향을 포괄적으로 평가합니다.
 
3) 국가 인프라 대전환: 철도, 항만, 댐, 하천 등 국가 인프라에 대한 안전성 진단 및 설계 기준을 강화·보강하여 예측 범위를 벗어난 기후 재난에 대비합니다.
 
4) 도시 기후 탄력성 제고녹색 공간 조성, 도시 열섬 완화 숲, 생활 정원 확충 등 자연 환경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ESG 경영 등과 연계한 민간 참여를 확대합니다.
 
5) 경제 적응력 강화: 산업계 업종별 기후 변화 대응 매뉴얼을 보급·시행하고, 기후 위기 식량 안보 대응 체계 구축 및 반도체 초순수 안정적인 공급 체계를 구축하는 등 산업 적응력을 강화합니다.
 
6) 사회 적응력 강화: 온열·한랭 질환 감시 및 건강 영향 평가, AI 감염병 스마트 감시 확대 및 취약 계층 실태 조사, 맞춤형 인프라 지원을 통해 사회 적응력을 강화합니다.
 
7) 기후 적응 컨트롤 타워 정립: 기후 감시·예측부터 기후 위험 영향까지 적응 정보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관계 부처 합동 제4차 국가 기후 위기 적응 대책을 수립·추진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