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내외경제이슈57

(국정44) 모두가 누리는 쾌적한 환경 구현 ○ 핵심 요약: 전국 초미세먼지 농도 13μg/m³ 수준 달성, 안전한 물 공급 및 먹거리 안전망 강화를 목표로 하며, 미세 먼지 저감, 녹조 피해 예방, 안전한 물 공급, 화학 물질 안전 관리, 화학 제품 사고 예방·대응, 안전한 먹거리 제공을 통해 유해 화학 물질 및 환경 사고에 대한 촘촘한 사전 예방·사후 구제 체계를 구축합니다. 1) 미세 먼지 저감: 미세 먼지 배출원 전 분야(사업장, 수송, 생활 등) 관리 강화를 통해 대기 배출 허용 총량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석탄 화력 발전소 폐쇄·전환(2040년까지), 소규모 사업장 저감 시설 교체 등을 추진합니다. 2) 녹조 피해 예방: 녹조 독소 기준 신설(2025년) 및 기준과 연계한 대응 체계 개선(조류 경보 강화 등)을 통해 녹조 피해를 예방하고.. 2025. 10. 5.
(국정41) 탄소중립을 위한 경제구조 개혁 ○ 핵심 요약: 탄소 중립과 경제 성장을 함께 이끄는 탄소 중립 선도국으로 도약하고, 주력 산업 탄소중립, 해외 탄소 규제 대응, 건물의 에너지 효율화, 산업 부문 순환 경제 활성화 등을 통해 건축물 에너지 효율을 제고하며, 순환 경제를 활성화하는 등을 통해 탄소 중립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주력 산업 탄소중립: 산업 부문 2035 NDC 달성을 위한 전략·수단을 전면 개편하고, 수소 환원 제철(철강), 바이오 원료 전환(석유 화학) 등 대규모 R&D 예타 추진 및 혁신적 탄소 감축 설비 투자 융자 제도 도입 등을 지원합니다. 2) 해외 탄소 규제 대응: 탄소 국경세 등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 지원 기반을 구축하고, 탄소 배출량 산정·감축을 원스톱 서비스로 기업에 밀착 지원하며, 공급망 내 .. 2025. 10. 5.
(국정43) 국가 기후 적응 역량 강화 ○ 핵심 요약: 기후 감시·예측부터 기후 위험 영향 평가까지 과학적 기반을 강화하고, 과학적 기후 변화 감시·예측, 기후 위험 영향 평가, 국가 인프라 대전환, 도시 기후 탄력성 제고, 경제 적응력 강화, 사회 적응력 강화, 기후 적응 컨트롤 타워 정립을 통해 기후 위험에 대비한 국가 인프라 대전환 및 경제·사회 전반의 적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과학적 기후 변화 감시·예측: 고해상도 한반도 기상·기후 감시 위성(천리안 5호) 개발·발사 및 1개월~10년까지 예측하는 국가 기후 예측 시스템 개발을 추진합니다. 2) 기후 위험 영향 평가: 국가 기후 변화 표준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사회·경제의 기후 위험 통합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기후 위험 영향을 포괄적으로 평가합니다. 3) 국가 인프라.. 2025. 10. 4.
(국정42) 순환경제 생태계 조성 ○ 핵심 요약: 플라스틱 감량부터 생산·회수·재활용까지 전 주기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수립하고, 탈 플라스틱 추진, 지속 가능한 제품 설계, 회수 체계 고도화, 순환 이용 활성화, 순환 경제 경쟁력 강화, 순환 경제 확*을 통해 CE(순환 경제)100 재생 원료 사용 의무를 국제 수준으로 강화하여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탈 플라스틱 추진: 국민 참여 숙의 과정을 거쳐 '탈 플라스틱 순환 경제 로드맵'을 수립(2025년)하고, 페트병 재생 원료 사용 의무율을 2030년까지 30%로 상향합니다. 2) 지속 가능한 제품 설계: 한국형 에코 디자인 도입을 추진하고, 제품의 수리 용이성을 제도화(2025년)하며, 포장재의 손쉬운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재질·구조 개선을 촉진합니다. 3) 회수 체계 고도화:.. 2025. 10. 3.
(국정40) 지속가능 미래를 위한 탄소중립 실현 ○ 핵심 요약: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책임 있게 달성하기 위한 이행 기반을 조성하고, 2030 감축 목표 달성, 2035 이후 로드맵 수립, 이행 기반 강화, 산업 탄소 경쟁력 강화, 국민 참여 확대, 국제 사회 논의 주도를 통해 2035년 감축 목표 수립 및 2050년까지 장기 감축 로드맵을 마련하며, 탈탄소 전환을 지원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기후·환경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2030 감축 목표 달성: 산업·건물·수송·전환 분야 감축 목표를 책임지고 달성하고, 배출권 거래제 이행 전략 수립, 기업의 실질적 탈탄소 전환을 위한 향후 5년의 로드맵을 시행합니다. 2) 2035 이후 로드맵 수립: 2030 목표 대비 진전된 2035 감축 목표를 수립(202.. 2025. 10. 2.
(국정39)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 핵심 요약: 재생 에너지 확대 및 제도 개선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재생 에너지 확대, 재생 에너지 제도 개선, 산업 경쟁력 강화, 지역 상생, RE100 산단 등을 통해 햇빛·바람 연금 확대, RE100 산단 등을 통해 지역 균형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 재생 에너지 확대: 재생 에너지 목표(2030년 78GW)를 상향하는 로드맵을 수립·이행하고, 계획 입지 발굴, 집적화 단지 신속 조성, 인허가 의제 처리 등을 통한 서남해·제주 해상 풍력 단지 구축 및 태양광 입지 다각화(산단·영농형·수상·주차장 등)를 추진합니다. 2) 재생 에너지 제도 개선: 계약 시장으로 단계적 개편하고, 재생 에너지 보급 제도를 간소화하며, 지자체의 인허가 절차 간소화, 이격 거리 완화·폐지.. 2025. 10. 1.
반응형